차세대의 눈


청말(晚清)의 동남호보 사건(东南互保事件)으로 본 중앙(中央)과 지방(地方) 간의 권력 투쟁

글_ 동서대학교 동아시아학과 박사과정 방자현

  중국 역사는 진나라(秦朝)가 통일된 중앙 왕조(中央王朝)를 수립한 이래로 20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후속 왕조들이 진나라의 제도를 따르며 고도(高度)로 통일되고 집중된 중앙집권 정부(中央集權政府)를 연이어 설립해 왔다. 동 기간 동안 지방 권력이 중앙 권력에 도전하는 사건이 발생하였으나 결국 중앙 권력의 힘에 의해 진압되었다. 그러나 왕조가 쇠약해지면 지방 세력이 급속히 성장하여 현 왕조를 대신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최종 결과는 새로운 왕조의 통치자 역시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왕조를 세워 새 왕조의 지속 운영을 유지하려 한다는 것이다.

  청나라(清朝)는 중국 역사상 마지막 중앙집권 왕조이며, 만주족(滿族)이 세운 왕조이다. 청나라가 200여 년간 통치하는 동안 만주족과 한족 사이의 권력 갈등은 청나라 내부의 큰 문제였다. 만주족은 한족(漢族)을 불신하고 억압하는 정책을 기본 국책으로 삼았지만, 청나라 말기에 한족 지방 관료들의 세력이 확장되면서 중앙집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동시에 어느 정도 청나라의 통치를 유지하는 역할도 했다. 중앙과 지방간의 권력 투쟁은 청나라 말기 10년간의 정치 사건인 동남호보사건에서 실제로 나타났다.

  동남호보 사건은 1900년 팔국 연합군(八國聯軍)이 베이징(北京)을 침입했을 때 서 태후(西太后)가 <선전 조서(宣戰詔書)>을 발표하며 동남 각 성(省)의 총독(總督)과 관료들에게 북상(北上)하여 왕조를 구하고 서구 열강1)과의 전쟁을 선포한 사건이다. 그러나 동남 각 성의 총독과 관료들은 서 태후의 명령을 공개적으로 거부하였고 서구 열강과의 전쟁을 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들은 비밀리에 서구 열강과 협정을 체결하여 동남 각 성을 전쟁으로부터 보호하여 동남호보 사건이라 불린다.



동남보호도(東南互保圖)



  팔국 연합군이 베이징을 공격한 이유는 의화단 운동(義和團運動)의 고조(高漲) 때문이다. 의화단은 대중적인 반제국주의(反帝國主義) 애국 운동(愛國運動)으로 ‘청나라를 보호하고 서양을 제거하자’는 깃발 아래 청나라 정부를 돕고 서양인과 서양 종교를 제거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처음에는 의화단의 발전이 서 태후의 묵인 하에 진행되었다. 

  특히 즈리(直隸)(즉, 베이징, 허베이(河北), 그리고 톈진(天津) 지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발전하였고 이들은 교회를 불태우고 외국인과 기독교도(基督教徒)을 학살했으며 세력 범위는 황하 이북(黃河以北)(즉, 산동(山東), 베이징, 톈진, 허베이 등) 대부분 지역에 걸쳐 있었다.



의화단 운동




팔국 연합군의 톈진에서 베이징으로의 진격



  서 태후가 의화단의 발전과 성장을 묵인한 이유는 우선 의화단 운동이 외국인과 외국 종교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청 정부(清政府)가 식민지 국가(殖民地國家)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강한 의지와 일치했다. 또한, 서 태후는 서구 열강이 폐제(廢帝)와 입저(立儲)(기해건저2)(己亥建儲)) 사건에 간섭한 것에 대한 보복(報復)으로 의화단을 지원한 것이다.

  유신변법 운동(維新變法運動)은 광서제(光緒帝)의 서구 학습을 위한 개혁 운동으로 자본주의 군주 입헌 정치체제(資本主義君主立憲政體)를 통해 국가를 자본주의 길로 이끌려 했다. 이는 서구 열강의 근본 정치적 요구와 부합했다. 그러나 유신변법 운동은 서 태후를 비롯한 보수파(保守派)의 이익을 침해하였고 결과적으로 변법은 100일도 안 되어 실패로 끝났다.

  유신변법이 실패한 이후, 서 태후는 고령으로 죽음을 앞두고 있었다. 서 태후는 광서제가 변법을 유지할 것을 우려하여, 광서제를 폐위시키고 새로운 꼭두각시 황제(傀儡皇帝)를 세우려 했다. 이렇게 하면 서 태후는 후궁에서 안정적으로 권력을 유지하며 수렴청정(垂簾聽政)3)을 계속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서 태후는 의화단의 대중적인 ‘애국(愛國)’ 세력을 통해 중국 내의 서구 열강을 제거하고자 했으나 서구 열강의 집단적인 반발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1900년 6월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러시아, 미국, 이탈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奧匈帝國)으로 구성된 팔국 연합군 약 5만 명이 거대한 대군(大軍)을 조직하여 톈진에서 베이징으로 진격하였다. 위급한 상황에서 서 태후는 광서제와 함께 서쪽으로 도망쳐 시안(西安)으로 피신하였다. 결국 의화단은 제거되었고 청 정부는 서구 열강과 ‘신축조약(辛丑條約)’을 체결하게 되었다.

  반면, 동남 연해 지역(東南沿海地區)은 각 성의 총독과 지방 관료들이 서구 열강과 미리 자구 조치를 위한 협정 체결로 인해 남쪽 성까지 번지지 않았다. 그렇다면 왜 동남 각 성의 총독과 지방 관료들은 중앙의 명령에 반대하더라도 자구조치를 취하려 했던 걸까?

  첫째, 아편전쟁(鴉片戰爭)에서 패배한 후 중국은 서구의 선진 기술을 학습하기 시작했다. 1860년의 양무운동(洋務運動)은 중국 근대화의 시작이었다. 양무운동 기간 동안 많은 근대적 산업이 창설되었다. 예를 들어 이홍장(李鴻章)과 쩡궈판(曾國藩)이 상하이(上海)에서 창설한 강남제조총국(江南製造總局) 및 쭤종탕(左宗棠)이 푸저우(福州)에서 창설한 푸저우선정국(福州船政局) 그리고 류쿤이(劉坤一)가 난징(南京)에서 창설한 금릉화약국(金陵火藥局)과 같은 대형 공장들이 동남 연해의 경제적으로 비교적 부유한 성들에 위치해 있었다. 비록 양무운동의 발전은 결국 청일전쟁(清日戰爭)의 패배로 끝났지만 양무운동에서 남긴 선진 기술은 여전히 동남 연해 각 성들에서 대체할 수 없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의화단이 북쪽에서 소란을 일으키고 서구 열강들이 중국을 공격하러 출병(出兵)했을 때 양무파(洋務派)의 지방 관료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중앙의 명령을 거부하고 서구 열강과의 전쟁을 선언하지 않았다.

  동시에 서구 열강들의 중국에서의 이익은 대부분 동남 연해 지역(東南沿海地區)에 집중되어 있었다. 중국은 1840년 아편전쟁 이후 체결된 「난징 조약(南京條約)」에 의해 푸저우(福州), 닝보(寧波), 상하이, 광저우(廣州), 샤먼(廈門)을 개방했다. 이후 「마관 조약(馬關條約)」에서는 장강 연안(長江沿岸)의 충칭(重慶), 쑤저우(蘇州), 항저우(杭州) 등을 통상항으로 개방했고, 더 나아가 서구 열강들이 중국에 공장을 설립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따라서 의화단이 북쪽에서 대규모로 소란을 일으켰을 때, 서구 열강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전쟁의 불길이 중국 남부(南部)의 주요 도시로 번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둘째, 태평천국 운동(太平天國運動)이 발발한 후 청 정부는 한때 용맹하게 싸웠던 만주 철기병(滿洲鐵騎軍)이 더 이상 군사적으로 절대적인 우위를 점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따라서 청 정부는 한인(漢人) 군대를 불가피하게 중용하여 적과 싸우게 했다. 이에 따라 한인 관료들은 지방에서 한인 군대를 조직함으로써 조정(朝廷)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얻었다. 이 중에서 이홍장의 회군(淮軍)과 쩡궈판의 상군(湘軍)이 가장 유명했다. 동시에 이홍장과 쩡궈판이 속한 파벌(派系) 간의 이익 다툼도 두 사람이 북상하여 황제를 돕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또한 의화단의 북쪽에서의 대규모 파괴가 발생하여 북쪽의 전보(電報) 시설이 심하게 손상되었다. 서 태후가 황급히 도망칠 때 청 정부와 외부의 전보 통신이 중단되어 국가에 일시적인 권력 공백(權利真空) 상태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남북관료들 간에 ‘남북 격리(南北隔離)’로 소통이 어려운 상황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중대한 변고(變故)에 직면한 남쪽의 각 총독(總督)과 관료들은 각자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모색할 수밖에 없었다. 이전에 서 태후가 <선전 조서>를 발표했지만 통신 장애(通信障礙)와 시국(時局)의 급변으로 인해 지방 정부와 중앙 간에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지방 정부는 출병정책에 대해 더욱 신중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북쪽의 통신 시스템이 파괴되었음에도 남쪽의 전보 통신은 여전히 원활하여 남쪽 총독 간의 상호 연락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했다.

  6월 20일 즉 <선전 조서>가 발표되기 하루 전, 청 정부는 지방 정부에 조정의 명령을 통지하면서 “현재 중외의 충돌이 시작되었으니 각 성은 어떻게 영토를 보전할 것인지 실질적인 방법을 강구하고 서로 권고하며 한마음으로 위기를 극복하길 바란다”라는 내용을 전달했다. 이 통지서에서 언급된 '실질적인 방법'에 대해 청 정부는 구체적인 조치를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후 조서(詔書)의 명령을 거부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제공했다. 또한 통지서에서 언급된 '영토 보전(保守疆土)'과 동남 지역의 '상호 보전' 문제는 충돌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4)

  마지막으로 서구 열강이 구성한 팔국 연합군이 베이징을 공격할 때 남방 의 각 총독과 관료들은 절대 출병하지 않고 영토(領土)를 보전하는 방식으로 동남 각 성이 전란에 휩쓸리는 것을 막았다. 이번 상호 보전에 참여한 동남 각 성의 관료로는 양강 총독 류쿤이(兩江總督 劉坤一), 호광 총독 장즈둥(湖廣總督 張之洞), 양광 총독(兩廣總督) 이홍장, 민절 총독 쉬잉콰이(閩浙總督 許應騤), 산둥 순무 위안스카이(山東巡撫 袁世凱), 저장 순무 류수탕(浙江巡撫 劉樹棠), 안후이 순무 왕즈춘(安徽巡撫 王之春) 등 지방 관료들이 있다. 상호 보전 지역은 중국 남부 대부분을 차지했다.

  동남호보는 중국 근대 역사에서 '굴욕(屈辱)'의 구원사(救贖史)로, 강력한 서구 열강집단에 직면했을 때 중국은 그들과 맞서 싸울 힘이 없어 자구적인 보호 방식으로 대규모 군사 침입과 전란의 확산을 막아야 했으며 이는 식민지 국가의 비참한 운명(命運)을 보여준다. 동시에 동남호보 사건은 중앙집권을 크게 약화시켰고 지방 세력이 급속히 부상하면서 중앙이 지방을 통제할 수 없는 국면이 시작되었다. 또한, 이후 신해혁명(辛亥革命)에 정치적인 참고가 되었다.

  동남호보 기간 동안 '조서를 거부'한 지방 관료들에 대해 서 태후는 틀림없이 이를 갈았을 것이다. 그러나 조정의 만주족 관료들이 무능했기 때문에 서 태후는 분노를 삼킬 수밖에 없었다며 책임을 묻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여러 장수(將帥)들을 '노모심산(老謀深算)'이라고 칭찬했다. 이는 서 태후의 내심(內心)의 어찌할 방법이 없는 상태를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동남호보 사건은 청말 역사에서 전환점을 이루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지방 실력파(地方實力派)의 지위가 강화되면서 중앙집권 정부의 통치 기반을 흔들었지만 동남호보 사건 중 각 계층의 이익 추구가 충돌(衝突) 속에서 균형(均衡)을 이루어 청말 정부의 통치를 유지할 수 있었다.


1)  열강(列強)은 '강대국'이라 용어는 똑같은 뜻을 말함. 중국은 옛 서구 강대국에 대한 통칭함.

2) 기해건저(己亥建储)는 광서 25년(기해년)인 서기 1900년 1월 24일 서 태후가 광서황제를 폐위시키고 후계자를 새로 세우려 한 사건을 말함.

3) 수렴청정(垂簾聽政)은 동아시아에서 나이 어린 왕이 즉위했을 때 왕의 어머니나 할머니, 또는 큰어머니(적모(嫡母), 백모(伯母))나 작은어머니(숙모(叔母))가 대리로 정치를 맡는 일을 말함.

4) 李鵬軍、張俊.“東南互保”新探[J].重慶教育學院學報,2005,(01):pp.57-61.


[ 참고 문헌 ]

1. 李鳳君, 「东南互保 出现探因」, 黑龍江教育學院學報, 1999

2. 趙正橋,「东南互保 的社会成因」,歷史教學問題期刊,1999

3. 董叢林,「东南互保 究竟保了谁的利益?」,歷史評論期刊,2022

4. 吳曉波,「1900年的商人救国」,商界期刊,2009

5. 李鵬軍,張俊,「东南互保 新探」,重慶教育學院學報,2005

6. 陳美祥,陳敦庸,「东南互保 浅议」,台州師專學報,1997

7. 戴鞍鋼,「1900年上海及江南的恐慌——兼论“东南互保”的社会氛围」,安徽史學期刊,2015

8. 史斌,王玲,「电报通信与清末“东南互保”研究——兼论晚清电报技术的政治影响」,自然辯證法通訊期刊,2018

9. 趙鳳文,「背道中的卫道_评述“东南互保”的爱国性质」,江漢大學學報,2018

10. 吳雲翔,「东南互保与晚清地方实力派的崛起」,中州學刊,2019

11. 譚特立,「刘坤一策划“东南互保”始末」,湖北檔案,2002

12. 趙曉雷,「试析张之洞在“东南互保”中的对外态度」,麗水師專學報,1985

동서대학교 중국연구센터

우) 47011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로47 동서대학교 국제협력관 8층 TEL : 051)320-2950~2
Copyright © 2018 webzine.dsuchina.kr All Rights Reserved. Design By SP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