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코로나이혼 퍼즐 맞추기

1.들어가면서
2020년은 코로나의 해이다. 여러 가지 사회이슈에서 “코로나 이혼‘은 흥미진진하다. 3월초 중국의 산시(陝西)성시안(西安)혼인등기소에서 줄지어 이혼서류를 제출하고 하루에 등록할 수 있는 이혼신청이 꽉 차면서 ”코로나이혼’이란 신조어가 미디어를 통해 탄생하였다.
또한 이웃 국가 일본에서 3월19일에 중국의 이혼현상을 코로나 이혼으로 가장 일찍 표현하였다. 차후 2020년 4월 일본여성이 코로나 이혼을 선언하면서 일본 미디어의 폭발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 코로나가 세계로 확산되면서 “국가봉쇄”, “도시봉쇄”로 형성된 좁은 공간에서 가족들이 공동생활을 하면서 빚게 되는 각종 갈등들이 ‘코로나19’와 연계되면서 “코로나 이혼”은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2020년 하반년이 되면서 중국, 한국, 일본 등 국가에서 코로나통제와 일상이 어느 정도로 회복되었고, 이혼 관련 통계자료도 어느 정도로 축적되면서 코로나-19로 인해 “이혼율”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 뚜렷하지 않으며, 어떤 국가는 이혼율이 어느 정도 더 감소되면서 코로나가 부부의 관계를 더 단독하게 하였다는 긍정론도 한국의 뉴스에서 나오기 시작하고, 일본의 일부 학자들도 회의론을 제기하였다.
그럼 과연 중국의 “코로나 이혼”의 실상은 무엇인가? 코로나 이혼의 논란들이 왜 중국과 일본에서 심화되는 것에 반해 한국에서는 상대적으로 잠잠한가? 특히 중국의 이혼율은 코로나 발생 이전에도 큰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은 분명한데 왜 “코로 나이혼”으로 둔갑되었을까?
2. “코로나 이혼”퍼즐 그리기.
이런 궁금점을 풀기 위해 한중일의 통계기관의 수치들로 코로나 관련 퍼즐판을 만들어 보았다. 한국에서 2020년 10월까지 이혼통계자료가 나왔고, 중국은 2020년 9월까지 통계자료가 나왔기에 통계자료를 정리하여 그래프나 표를 만들어 작성하면 어느 정도 그림이 보인다. 그리고 통계수치가 나오지 않은 나머지 수치는 “?”로 남겨 두면서 추론을 통해 코로나이혼의 수수깨끼를 풀고자 한다.
설사 2020년의 전체 이혼 관련 데이터가 정확하게 다 나왔다 하더라도 이 퍼즐은 맞추어지만 이 퍼즐판이 만들어 낸 “이혼”의 원인을 밝히는 것은 쉽지 않다. 하지만 코로나와 이혼이 결혼하여 생긴 “코로나이혼”의 진정한 바이루스는 코로나가 아닌 중국경제, 사회가 가지고 있는 고질병이 발생하였을 수도 있다. 자, 이제 슬슬 코로나 퍼즐판을 그려보자!
1)한중일의 이혼율1) 추이
한국은 1970년대만 하여도 이혼 건수가 1만건도 안되어 이혼율이 0.4%였지만 1997년 IMF를 겪으면서 이혼 건수가 9만건으로 급상승하면서 이혼율이 2.0‰로 급속히 증가하였다. 차후 서서히 상승하면서 2003년에 17만건으로 이혼율이 3.4‰로 정점에 섰다. 그리고 계속 하락한다 <표-1>에서 보시다시피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큰 폭락이 없이 2.0‰~2.3‰ 사이에 정체되어 있다. 일본도 이혼 건수가 한 시기 감소하였다. 2011년 3.11대지진 후 오히려 이혼율이 2.0‰대에서 1.84‰로 하락하였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2019년에는 1.7‰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이혼율은 중국의 GDP성장율처럼 평균 6%의 증가율을 보이면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0년도 2.0‰를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2019년에는 404만건의 이혼이 성사되면서 역대 가장 높은 3.4% 이혼율을 만들었다. 과연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코로나 이혼”을 만들어낸 이혼율은 더 높아질까?
  • <표-1>2010~2019년 한중일 이혼율 추이
    출처: 《人民畫報 중국》(2020.6.5.)
    설명: 본 자료는 한중일 통계기관의 이혼율 자료를 재구성하여 표를 만들었음.
2)한국의 코로나 퍼즐 맞추기
한국과 일본의 코로나이혼 퍼즐판을 보는 것은 중국의 퍼즐판을 만들어 보고, 퍼즐을 풀기 위한 비교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의 이혼율관련 데이터가 2020년 10월까지 만들어 졌고, 다행히 한국의 “추석이혼”이라는 특수현상을 코로나 시즌에 관찰 할 수 있어 운이 좋은 것이다.
한국의 상황을 볼 때 2019년은 이혼율이 다른 두 해보다 조금 높고, 1분기에 앞도적으로 이혼율이 높다. 1분기를 제외하고 기본상 2017년, 2018년의 페턴과 비슷하다. 전반적으로 이혼율이 하반기에 조금 높게 나타나고 있다.
2020년을 볼 때 상반기는 이혼율이 4개 연도에서 가장 낮다. 하지만 하반기의 3분기는 오히려 가장 높다. 이로 미루어 볼 때 4분기도 조금 높게 나올 수 있지만, 추석과 관련한 10월달의 이혼율을 비교할 때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코로나의 역할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 볼 때 이혼율이 보복성으로 11월, 12월에 미루어 질 확률도 높아 보이지 않는다고 추론하면서 2020년의 전체 이혼 건수가 2017년과 2018년의 사이에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2019년을 초월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한국의 사례로 볼 때 “코로나 이혼”이 통계적으로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
올해의 한국추석은 특별하였다. ‘고향 찾으면 불효자’ 현수막이 내걸렸을 정도로 시댁이나 처가 방문을 만류하는 분위기였다. 10월달에 추석이혼이 감소되었다고 하여, 코로나19가 부부관계를 돈독하게 하고, 재난위기의식을 갖고 코로나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이혼율이 떨어졌다고 판단하기도 힘들다.
<표-2>2017~2020년 한국의 이혼율 단위: 건
<표-2>2017~2020년 한국의 이혼율
연도 전체 1월~10월 상반년 하반년 10월달 비고 (추석일)
2017 10,6032 88,108 52,632 53,400 8,400 10월4일
26,461 26,171 27,076 26,324
2018 10,8684 89,733 52,687 55,997 10.600 9월24일
25,701 26,987 26,446 29,551
2019 11,8000 99,592 62,156 55,844 9,865 9월13일
34,071 28,085 27,571 28,273
2020 ? 88,453 51,326 ? 9,345 10월1일
24,362 26,964 27,782 ?
참고: 한국통계청 자료를 재구성하였음.

하지만 일본은 양력설이 가장 크고 한국처럼 추석이혼 같은 현상은 찾아보기 힘들다. 그래서 일본은 어떤 형태로 코로나이혼의 담론이 만들어지고 실제는 어떤지 알아 보자.
3)일본의 퍼즐 맞추기
일본의 미디어는 일찍이 중국의 “코로나이혼”을 소개하였고, 4월에 일본 주부가 인테넷 게시판에 자신이 겪은 일을 게재하면서 일본 사회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코로나이혼”관련 뉴스들이 한중일 세 개 국가에서 가장 많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일본의 상반기 이혼관련 통계자료가 정리되면서 코로나이혼에 관련하여 “회의론”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일부 사람들은 “코로나이혼”이 존재하는가 의문을 제기하였다.
<표-3>을 보면 아래와 같다.
  • <표-3> 월별로 보는 일본의 이혼건수(2018~2020)
    출처: 《人民畫報 중국》(2020.6.5.)
    자료내원: 人口動態統計速報(令和2年10月分)에 근거하여 작성
일본도 코로나19가 일본에서 비교적 강하게 사회적 거리를 두는 4월과 5월에 이혼율이 뚝 떨어지고 있다. 2020년의 1분기는 최근 3년의 수치와 비슷하다. 코로나로 사회적 거리를 강화하는 시점인 4월부터 뚝 떨어지면서 계속 감소하는 추세이다. 2019년과 2018년을 비교할 때 1분기는 이혼율이 감소하였지만 기타 3분기는 증가하였다. 하지만 2020년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아직 11월과 12월 두달 남아 있지만 극적으로 반전하기는 힘들다.
흥미로운 것은 일본 미디어가 가장 많이 강하게 코로나이혼을 제기하고 담론화시켰지만 역으로 한중일 3개국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이혼율을 감소시키는데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일본식으로 “밖”과 “속”이 다르다 것이 이것을 두고 한 말일지도 모른다.
어쨌든 한국과 일본 사례를 볼 때 코로나 이혼의 개별적 현상은 미디어를 통해 많이 노출되었지만 전반적으로 이혼건수가 압도적으로 많아졌을 것이란 “상상”을 완전히 뭉개 놓았다.
4)중국의 퍼즐판 맞추기
이제 본격적으로 중국을 분석하여 보자. 전세계는 “COVID-19”에 떨고 있었고, 한달 넘게 감옥처럼 갇혀 사는 중국인들, 그리고 그들의 일기, 관련 뉴스를 보면서 여러 가지 생각을 하고 있었다. 3월부터 사회적 이동이 가능하자, 3월초, 3월 중순에 혼인등록소가 개업을 하면서 이혼등록이 짧은 3월에 폭발적으로 몰리게 되었다. 그래서 전반적으로 2020년 1분기 이혼건수는 61.2건으로 2019년 이혼건수의 58%이다.
하지만 2분기는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2019년도의 수준으로 회복되었고, 기타 연도의 이혼율을 뛰어 넘었다. 이런 승장세는 3분기로 이어 갔고 3분기의 이혼율은 2019년의 최고치를 초월하면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추이로 볼 때 4분기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4분기의 이혼율이 1분기의 부족한 부분을 다 채울 수 있을지는 조금 회의적이다. 중국의 이혼율은 한국, 일본과 달리 고속 상승과정이라 그런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본다.<표-4>참고.
<표-4> 2016~2020년 중국의 이혼율 단위: 만건
<표-4> 2016~2020년 중국의 이혼율
연도 전체 1월~9월 상반년 하반년 비고 (설명절)
2016 346.8 257.9 168.3 178.5 2월8일
86.2 82.1 89.6 88.9
2017 369.3 279.1 185.6 183.7 1월28일
95.8 89.8 93.5 90.2
2018 380.1 289.9 193.1 187.0 2월18일
97.2 95,9 96.8 90.2
2019 404.3 310.4 203.8 200.5 2월5일
104.8 99 106.6 93.9
2020 ? 267 159.5 ? 1월25일
61.2 98.3 107.5 ?
설명: 중국민정국통계자료를 정리하고 재구성하여 작성하였음. http://www.mca.gov.cn/article/si/tijb/qgsj

중국의 혼인등록소의 행정력과 이혼등록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3월달을 포함한 1분기의 이혼수치를 볼 때, 4분기의 이혼등록건수는 증가하겠지만 이혼증을 받은 이혼율에 잡히는 이혼건수는 대폭적으로 상승하기 힘들다. 중국에는 매년 이혼등록건수와 실재 이혼건수의 차이가 60만건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만약 60만건의 이혼등록건을 이혼율로 잡을 때 이혼율수치는 더 높아 질 것이다.
3.마무리. 중국의 “이혼”은 어디로?
2021년 1월 1일부터 “이혼냉정기”란 조정법이 생기면서 이혼행정업무는 더 추가되고, 이혼행정속도는 더 늦어 질 것 같다. 그리고 그 해당연도에 등록한 이혼건수도 줄어들면서 이혼율은 소폭 낮아 질것으로 본다.
코로나19가 이혼율을 대폭적으로 증가시키지 못할 것으로 보지만, 중국의 행정기관이 실제 이혼에 내재된 모순을 해결 할 수는 없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국의 가정에 내재되어 있다. 2002년부터 부동산대출, 차량등록 관련 경제정책이 “가정”과 묶이면서 “이혼‘은 하나의 수단으로 되어가 간 측면도 있다.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의 높은 이혼율은 급속한 경제성장과 관련이 있지만 부동산구매 정책이 이혼을 촉진하였다는 여러 연구결과를 참고할 때 ”부동산이혼“이 ”코로나이혼“이 묻혀 갈까봐 더 두렵다.
중국의 80,90세대들이 대부분 결혼을 함에 따라, 새로운 세대의 결혼관념이 형성되고 이혼에 대하여 윗새대보다 훨씬 자유로울지도 모른다. 중국여성의 지위가 올라감에 이혼을 제기하는자가 70%가 여성이라고 한다. 중국의 가정에서 여성의 직업화수준이 높아 짐에 따라 남녀평등의 관념도 강화되고 있다. 이들은 곧 이혼세대를 경험하고 있다. 중국의 이혼통계에서 볼 때 결혼후 2년-5년사이의 이혼율이 유독 높고, 재혼율이 매우 높다. 이 부분에서 한국, 일본과 좀 큰 차이가 있다.
중국의 이혼이 변화되고 있다. 매우 가파르게 상승한다, 그리고 도시의 경제, 정치정책에 묶여 있고, 빈번한 인구이동, 장기간 분리 거주하는 공간거리도 이혼에 한몫을 한다는 점에서 중국적 요인이 보이고 있다.
모든 것을 코로나로 엮어 “코로나이혼”으로 몰고 갈 수 있지만, 코로나이혼은 실체가 없다. 하지만 그 내면에 담긴 “중국식이혼”의 본질을 파해칠 때, 중국사회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 1) 여기서 이혼율은 조(粗)이혼율을 말한다. 국제적으로 사용하기에 비교가 가능하다. 조이혼율은 한해 발생한 이혼건수를 해당연도 총인구로 나눈 뒤 1000을 곱해 산출한 이혼 발생건수를 말한다.

부경대학교 중국학과 예동근

페이스북 트위터 인쇄하기 링크복사하기